주식
-
모바일로 SK바이오팜 청약 신청방법 후기주식/주식용어 2020. 6. 23. 12:19
안녕하세요. 드디어 오늘부터 내일까지 SK바이오팜 청약신청이 시작됐습니다. 첫날은 190만주, 둘째날에도 190만주 정도 공모를 진행합니다. 청약시간은 아침 8시부터 오후 4시까지라고 합니다. 또, 일반 상장은 7월 1일이라고 하네요. 다행히도 요즘 축의금을 먼저 계좌로 쏴주는 친구들이 있어서 여윳돈 80만원이 생겼는데요. 한주에 4만 9천원에 청약을 한다는 바이오팜 소식을 듣고 제 생애 첫 청약공모주를 넣어봤답니다. 예정 공모가는 3만6천원이었는데 많이 올랐네요 ㅎㄷㄷ 제가 앞서 청약관련해서 좀 작성한게 있어서 좀 자세하게 알고싶다면 이곳을 클릭해주시면 되구요. 오늘은 정말 간단하게. 모바일로 어떻게 신청을 하는지 절차에 대해 그리고 후기를 알려드리려구 올립니다. 먼저 저는 NH나무 증권 앱을 깔고 계..
-
모바일로 공모주 청약하는 방법은? (feat.SK바이오팜)주식/주식용어 2020. 6. 16. 11:30
주택청약만큼이나 뜨거운 청약이 있습니다. 바로, 공모주 청약인데요. 한 기업이 주식상장(IPO)를 하게 될때 첫 주식을 일정량 청약을 하게 됩니다. 주택청약이 로또인 만큼 공모주 청약도 만만치 않은데요. SK바이오팜(6월 23~24), BTS의 소속사 빅히트엔터테인먼트(미정), 카카오 게임즈(미정)가 주식상장을 앞두고 있습니다. 특히, SK바이오팜은 날짜를 확정하면서 투자자들의 기대를 받고 있는데요. 보통 주식상장 당시 일반 투자자에게는 전체 공모 주식의 약 20%가 배정된다고 합니다. 이 청약이 왜 로또라고 불리냐면, 상장 후 가격보다 10~30% 할인된 가격에 살 수 있다는 것 때문이죠. 그래서 시장에 나올 때 10~30% 이상의 수익을 볼 수 있게 되는 겁니다. 다만, 청약이다 보니 경쟁률이 세서 ..
-
유상/무상증자와 권리락 주가 효과 '권리락'이란?주식/주식용어 2020. 6. 11. 11:16
최근 대한항공 투자하신분들에게 익숙한 용어일텐데요. 요즘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기업들이 자금부족으로 '유상증자'를 많이 하는데요. 우선 유상증자/무상증자 차이를 먼저 알아야겠네요. 유상증자/무상증자 증자 말뜻을 풀이하면 주식을 추가 발행해 회사의 '자본금'을 늘리는 행위입니다. 은행대출, 채권발행으로도 가능하지만 이자가 없다는 점에서 기업들이 선호하는 방법이죠. 하지만, 증자를 계속하게 되면 회사 가치와 신뢰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조심스러워하긴 합니다. 유상증자는 있을 유(有)자를 써서 돈을 받고 파는 방법이고 무상증자는 없을 무(無)자를 써서 돈을 받지 않고 기존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나눠주는 방법입니다. 주로 유상증자는 주로 회사 재정 상황이 좋지 않을때 외부에서 투자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사용하고, 무..
-
수신상품은 무엇? 그리고 양도성예금증서(CD)?주식/주식용어 2020. 6. 5. 11:31
수신상품은 무엇? 우선 양도성예금증서(CD)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뉴스에 엄청 많이 나옵니다. 또, 뉴스를 보다 보면 이 양도성예금증서가 수신상품이란 걸 알 수 있게 됩니다. 특히, 이런 말이 많이 나오죠. "적금, 상호부금, 주택부금, 양도성예금증서(CD) 등 수신금리를 잔액 비중에 따라 가중 평균해 산출된다" 수신금리란 수신상품의 금리라는 건 알겠는데. 과연 '수신상품'은 또 무엇일까요?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수신상품'은 은행에서 돈을 받고 판매하는 상품입니다. 대표적인 수신상품은 예금, 저축, 보험이 있는데요. 다른 금융상품에 비해 입출금이 자유롭습니다. 그래서 유동성이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죠. 비교해보자면 여신상품이란 게 있는데 은행에서 돈을 주고 판매하는 상..
-
미국 폭동 관련주 수혜주와 피해주는? 소총·백화점 등주식/테마주 2020. 6. 1. 20:53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시에서 위조지폐 사용 혐의를 받던 '흑인' 조지 플로이드(George Floyd )가 백인 경찰에게 수갑이 채워진 뒤 무릎으로 목을 8분간 눌려 사망해 현재 미국에서 폭동이 나고 있는데요. 조지 플로이드가 "I can't breath","mom"이라고 말하면서 호소했지만 아랑곳하지 않고 목을 눌러 결국 질식사했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미국 전역으로 시위가 확산되면서 일부 지역엔 폭력시위 폭동까지 번지게 됐는데요. 폭도들이 명품샵이나 대형마트에 침입해 물건을 훔치는 일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폭동이 워싱턴D.C.까지 퍼지자 트럼프도 지하 벙커에 숨었다고 하죠? 다만, 지난 주말 동안 일어난 일이라 아직 주식시장에 반영되지는 않았는데요. 사실 1967년 디트로이트 폭동과 1992년 ..